<p></p><br /><br />Q1. 김정숙 여사 샤넬 옷, 이 논란이 왜 이렇게 커진 건가요? <br><br>논란은 딱 일주일 전 불거졌습니다. <br> <br>김정숙 여사가 착용한 옷과 액세서리를 두고 이른바 '옷값' 논란이 일었는데 청와대 관계자가 샤넬 재킷을 특정해 설명했던 건데요. <br> <br>들어보시죠. <br> <br>[탁현민 / 대통령 의전비서관(지난달 30일, 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] <br>"저희가 빌려 입고 다시 샤넬에 돌려줬더니 이게 한글로 디자인돼서 의미가 크니 한국에 기증하겠다라고 해서 우리나라에 기증을 했고, 그게 지금 인천공항에 아마 전시가 돼 있을 겁니다." <br><br>2018년 프랑스 순방 당시 김 여사가 입었던 샤넬 '한글 재킷'. 대여한 것이고, 기증까지 받아서 인천국제공항에 전시했다는 주장이었습니다. <br><br>그래서 저희 취재팀이 인천공항에 가서 전시된 옷과 김 여사의 순방 영상을 비교해봤습니다. <br> <br>색깔 배치나 한글 위치 등 한눈에 봐도 같은 옷이 아니었던 겁니다. <br><br>Q2. 탁 비서관은 분명히 전시됐다고 했는데, 왜 달랐던 겁니까? <br><br>애초에 다른 옷을 전시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샤넬 측은 논란이 불거질 당시 "김 여사가 착용 후 바로 반납했고, 해당 재킷을 박물관에 기부"했다고 밝혔지만, 엿새 만인 오늘 <br>다른 옷이라는 사실을 밝히며 입장을 번복했습니다. <br><br>Q3. 2018년 프랑스 순방 때 입었던 옷이 지난해 기증됐는데. 그 과정을 최 기자가 쭉 취재했잖아요. 팩트가 뭐에요?<br><br>제가 직접 당시 기증 과정에 참여한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과 통화해봤는데요. <br><br>지난해 5월, 청와대에서 문화체육관광부에 "샤넬에서 김 여사가 입었던 재킷을 기증하겠다고 한다"며 "기증 가치가 있나 검토하라"고 하며 기증 논의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문체부는 국립한글박물관과 논의 끝에 기증 받기로 결정했고, 그 뒤로는 박물관 측이 샤넬 본사와 직접 기증 논의를 했답니다. <br> <br>코로나19 확산 등을 이유로 대면 없이 이메일로 기증 과정을 논의했고, 지난해 12월 초, 재킷도 국제 우편으로 받았다고 합니다. <br><br>이 과정에서 김정숙 여사가 실제로 입었던 옷인지에 대한 검증과정은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Q4. 이게 논란이 되는 부분이 두 가지인 것 같아요. 시청자 분들이 질문 주신 건데요. 왜 옷을 입은 건 2018년인데, 기증은 3년 뒤에나 이뤄졌냐, 혹시 김정숙 여사 옷값과 관련한 시민단체의 소송과 관련된 것 아니냐고 질문을 주셨습니다. <br><br>지난 2018년, 한국납세자연맹 측이 제기한 정보공개 청구 소송 결과가 나오기 전, 샤넬과 기증 논의가 이뤄진 것을 두고 의혹이 제기되는 것인데요. <br> <br>당시 소송 내용에 김정숙 여사 관련 의전비용을 공개하라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. <br> <br>기증 논의가 어떻게 시작됐는지 청와대의 정확한 해명이 필요한 부분입니다. <br> <br>일단 박물관 관계자는 "한글 재킷 기증이 순방 3년여 뒤에 갑작스럽게 이뤄졌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Q5. 또 다른 논란 부분은, 그럼 김정숙 여사가 입은 옷은 지금 어디에 있느냐는 거에요.<br> <br>샤넬의 답은 이렇습니다. <br><br>김정숙 여사가 대여했던 옷을 샤넬 패트리모니, 그러니까 유의미한 샤넬 작품을 보관하는 본사 보관소에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샤넬이 왜 김 여사가 직접 입은 옷이 아닌 별도 제작 재킷을 기증했는지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입니다. <br><br>Q6. 청와대의 해명을 두고 논란도 여전해요. <br><br>논란은 계속 되는데, 청와대의 해명이 명쾌하지 않다보니 그런 것 같습니다. <br> <br>앞서 언론 인터뷰에서 샤넬 한글 재킷에 대한 해명을 했던 탁현민 비서관은 오늘 자신의 SNS에 "그게 왜 시빗거리냐"며 기증 작업에서 부적절한 일은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특활비 공개 거부 논란부터 현금 5만원 권 결제 등 의전 비용 관련 의혹이 계속되는 만큼 명확한 해명을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donga.com